투자 도움 상식
[경제용어] 가계순저축률
가계순저축률이란? 가계순저축률은 가계총처분가능소득에서 가계순저축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조금 더 풀어서 설명하자면, 개인의 소득에서 세금과 이자 등을 제외하고, 순수하게 개인이 사용할 수 있는 돈을 바로 "가처분소득"이라고 합니다. 여기에 정부로부터 받은 사회적 현물이전 금액, 연금기금의 가계순지분 증감조정액 등을 합계하면 "가계총처분가능소득"이 됩니다. 이러한 가계총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에 사용되고 남은 돈을 "가계순저축"이라고 하고요. 가계순저축률을 보면, 가계 부문의 저축 성향을 알 수 있습니다. 비율이 높으면 국내 가계에서 저축을 많이 하는 것이고, 비율이 낮으면 국내 가계에서 저축을 적게 한다는 뜻인데요. 이러한 가계순저축률이 증가하면 경제에는 그리 좋지 못한 신호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2021. 7. 30. 23:12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