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재 가격 급등, 전력난, 항다 등 악재 속에 중국 경제의 성장 동력이 급속히 둔화되면서 중국이 올해 상반기까지 무난해 보이던 8%대 경제성장률 달성이 어렵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외신들은 올 3분기 중국의 GDP 성장률이 5.0~5.2%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하지만 기저효과에 힘입어 1분기 18.3%까지 치솟았던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2분기 7.9%, 3분기 4.9%까지 떨어진 것으로 지난 18일 확인돼 중국의 경기둔화 흐름이 더욱 뚜렷해진다는 평가입니다.
통계 집계 사상 역대 최고치였던 중국의 올 1분기 성장률 배경에는 지난해 1분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에 따른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했던 것으로 분석됩니다. 중국 경제는 강력한 경기부양책에 힘입어 작년 하반기부터 코로나19 충격에서 완전히 벗어나 강한 회복력을 보였습니다.지난해 세계경제가 코로나 19의 대유행 속에서 신음할 때 중국은 개혁개방 이후 최악의 성적이긴 했지만 세계 주요국 중 유일하게 플러스 성장(2.3%)을 달성한 적도 있습니다.
그러나 하반기로 갈수록 낮아지는 '전고후저(轉古後低)' 경향이 예상되고 있네요. 관련하여, 블룸버그는 중국의 3분기 경제지표 발표 후 분석 기사에서 "기저효과를 감안할 때 성장이 3분기에 둔화될 것으로 예상됐으나 에너지 위기의 심각성과 부동산 침체는 경제학자들을 놀라게 했습니다"고 지적했습니다. 무엇보다 올해 들어서는 세계적인 원자재 가격 급등, 중국 내 코로나19 산발적 확산, 중국 정부의 엄격한 규제에 대한 민간 경제 위축 등을 비롯하여 세계 공급망의 병목 현상, 중국 내 전력 부족 등 악재가 겹치면서 중국 경제의 성장 동력도 약화되기 시작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 경제가 이렇게 된 까닭을 좀 더 자세하게 짚어보겠습니다. 우선 에너지 쇼크입니다. 중국은 현재 심각한 전력난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중국은 여전히 석탄 발전에 의존도가 높습니다. 그런데 정치적 갈등으로 중국 정부가 중국으로부터의 석탄 수입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던 호주산 석탄의 수입을 금지하면서 석탄이 부족하기 시작했습니다. 7월 산시, 10월 허난성 홍수로 중국 내 석탄광산이 폐쇄되고 내년 동계 올림픽을 앞두고 있는 중국 정부가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석탄 생산을 규제하면서 전력 부족은 더욱 심각해졌습니다. 전력 생산에 차질이 생겨 대규모 정전이 계속되고 공장에서도 조업 중단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바로 에너지 부족이 경제성장을 저해하고 있습니다라는 것이죠.
다음은 부동산 쇼크입니다. 국내에서도 많이 들어보셨을 "헝가그룹". 바로 이 헝가그룹 사태로 대표되는 중국 내 부동산 리스크도 중국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는 부동산 투기와 개발업자의 무분별한 사업 확장을 억제하기 위해 부동산업자들이 돈을 쉽게 빌리지 못하게 해버렸습니다. 그러자 거대 부동산 개발 회사가 부도 위기에 처했습니다. 실제로 단식투쟁 이후 9월 중국 내 신규주택 건설이 크게 줄었고 이에 따라 철강 시멘트 등 원자재 수요가 급감했습니다고 합니다. 중국은 거시경제와 가계경제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큰 만큼 부동산 시장이 요동칠 경우 가계소비 회복세를 저해할 수 있습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물론 중국 인민은행은 헝가 사태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습니다는 입장입니다.
마지막으로 코로나 재확산입니다. 중국은 내년 겨울올림픽을 앞두고 강력한 방역대책을 펴고 있습니다. 코로나 재확산을 철저하게 차단하겠다는 것이죠. 해외발 입국자는 내외국인을 막론하고 별도의 격리시설로부터 3주간 격리하며, 중국 내 확진환자가 발생할 경우 도시를 봉쇄하여 전수 검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사실상 백신 접종도 강제하고 있습니다 이미 70% 이상이 백신 접종을 완료했지만 국제행사를 앞둔 중국 정부는 방역 완화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국제기구와 투자기관들은 중국의 경기 하방 압력이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면서 중국 경제의 성장 기대치를 속속 낮추고 있습니다. IMF는 12일(현지시간) 발표한 '세계경제 전망' 보고서에서 중국 경제성장률을 8.1%로 낮췄습니다. 로이터통신 설문조사에서 전문가들은 올해 중국 경제성장률을 8.2%로 전망했는데, 이는 지난 7월 설문조사 때 전망치 8.6%보다 0.4%포인트 낮아졌습니다. 골드만삭스는 8.2%에서 7.8%로, 노무라는 8.2%에서 7.7%로 수정하는 등 일부 기관은 중국이 올해 8%대의 경제성장률을 달성하기도 어려워질 것이라 전망하기 까지 합니다. 물론, 8%대의 경제성장률은 다른 주요국가와 비교했을 때 매우 높은 수준이긴 합니다. 문제는 그게 중국이라는 것이죠.
중국은 지난해 코로나 쇼크로 2.3%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따라서 올해는 8.3% 내외의 경제성장률을 달성해야 지난해와 올해 평균적으로 예년 수준인 5.5% 정도의 경제성장률을 달성할 수 았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합니다. 그런데 일부에서는 올해 4분기 중국 경제성장률이 최악의 경우 3%까지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는 관측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예컨대, 뱅크오브아메리카의 중국 담당 이코노미스트 헬렌 차오는 블룸버그 TV에 "공급자측에 준 전력난의 충격이 상당히 심각하다"며 4분기 중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3~4%까지 떨어질 수 있습니다고 전망한 바 있습니다.
보통 경기둔화 기세가 나타나면 돈을 더 푸는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써야 하는데 중국도 이미 자산가격(주식 및 부동산)이 크게 오른 데다 돈을 풀 경우 부채비율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중국 정부가 불평등 해소와 사회안정을 내세우고 있습니다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펴기도 쉽지 않다는 분석입니다.
'투자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임빌과 컴투스, 메타버스 기업으로 진화 시작!...꾸준한 투자로 역량 만들기에 집중 (0) | 2021.11.16 |
---|---|
새벽배송 업체들, 상장 준비에 박차...SSG, 마켓컬리, 오아시스 등 (1) | 2021.11.04 |
'합성생물학'이 뜬다...주요 개념과 주목 받는 이유, 그리고 대표 기업(미국주식) (0) | 2021.10.06 |
미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물류 대란...전세계 공급망이 불안하다? (0) | 2021.10.02 |
2023년부터 고교학점제 시행...투자자가 알아야 할 포인트들 (0) | 2021.09.15 |
최근댓글